고혈압
본문
고혈압의 정의
혈관에 부딪히는 혈액의 압력이 높은 것으로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 90mmHg 이상을 말합니다.
진단기준(JNC-7 고혈압 분류)
혈압분류 | 수축기 혈압(mmHg) | - | 확장기혈압(mmHg) | |
---|---|---|---|---|
정상 혈압 | < 120 | 그리고 | < 80 | |
주의 혈압 | 120 ~ 129 | 그리고 | < 80 | |
고혈압 전단계 | 130 ~ 139 | 또는 | 80 ~ 89 | |
고혈압 | 1기 | 140 ~ 159 | 또는 | 90 ~ 99 |
2기 | ≥ 160 | 또는 | ≥ 100 | |
수축기 단독 고혈압 | ≥ 140 | 그리고 | < 90 |
고혈압 전 단계 수축기 혈압 130 ~ 139mmHg 또는 확장기 혈압 80~89mmHg인 경우를 고혈압 전 단계라고 합니다. 현재 고혈압은 아니지만, 개선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고혈압이 될 가능성과 심뇌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고혈압의 증상
본태성 고혈압 :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고혈압
2차성 고혈압 : 특정질환에 의한 혈압 상승으로 원인질환을 치료하면 완치 가능
2차성 고혈압 : 특정질환에 의한 혈압 상승으로 원인질환을 치료하면 완치 가능
정확한 혈압 측정을 위한 유의사항
혈압 측정 전, 커피나 흡연 삼가
최소 5분 이상 안정
적절한 혈압계의 사용
팔높이를 심장과 비슷하게 두기
최소 5분 이상 안정
적절한 혈압계의 사용
팔높이를 심장과 비슷하게 두기
혈압치료 목표
140/90mmHg미만
당뇨병이나 만성 신장질환,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또는 뇌졸중(중풍)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130/80mmHg 미만으로 조절
당뇨병이나 만성 신장질환,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또는 뇌졸중(중풍)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130/80mmHg 미만으로 조절
관리
체중조절
신체활동 증가
식사 조절: 식사 줄이기(매우 중요), 포화지방산/콜레스테롤 섭취 줄이기, 과일·야채 충분히 섭취
금연과 금주
약물치료: 전문가와 상담
신체활동 증가
식사 조절: 식사 줄이기(매우 중요), 포화지방산/콜레스테롤 섭취 줄이기, 과일·야채 충분히 섭취
금연과 금주
약물치료: 전문가와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