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본문
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손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갑작스럽게 뇌가 망가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뇌졸중의 종류
뇌경색(허혈 뇌졸중) | 뇌혈관이 막혀 뇌가 혈액과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해 뇌세포가 죽게 되는 경우 |
---|---|
뇌출혈 | 뇌혈관이 터져 피가 흘러나와 뇌에 고여서 뇌 손상이 오는 경우 |
뇌졸중의 증상
갑작스런 편측 마비
한쪽팔, 다리에 마비가 오고 힘이 빠짐
한쪽팔,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없어짐
갑작스런 시각장애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하나의 물건이 두 개로 보임
시야의 오른쪽 반 혹은 왼쪽 반이 보이지 않음
심한 두통
번개나 망치로 맞은 듯한 아주 심한 두통
한쪽팔, 다리에 마비가 오고 힘이 빠짐
한쪽팔,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없어짐
갑작스런 시각장애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하나의 물건이 두 개로 보임
시야의 오른쪽 반 혹은 왼쪽 반이 보이지 않음
심한 두통
번개나 망치로 맞은 듯한 아주 심한 두통
뇌졸중의 위험요인
고칠 수 없는 위험 요인 | 나이(고령) |
---|---|
성별 | |
가족력 | |
고칠 수 있는 위험요인 | 고혈압 |
흡연 | |
당뇨병 | |
목동맥협착 | |
부정맥(심방세동) | |
심장병 | |
고지혈증 |
진단검사
병력청취 및 신경학적 검사 | 병력청취 및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이환된 뇌 부위를 알 수 있습니다. |
---|---|
뇌 단층화 촬영(CT) | CT/MRI를 통해 뇌경색인지 뇌출혈인지를 진단해 그에 따른 응급치료 방침을 결정합니다. |
뇌 자기 공명 검사(MRI) |
관리 및 예방
뇌졸중 위험인자의 조절 | 고혈압, 당뇨병, 콜레스테롤, 금연, 운동, 체중조절, 식이조절 |
---|---|
뇌졸중 예방약물의 투여 | 항혈소판제, 항응고제(와파린, 쿠마딘) |
목동맥 협착 제거술 | 목동맥내막절제술,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
뇌졸중의 가장 좋은 치료 | 예방이 중요하고, 뇌졸중 증상이 생기면 신속히 내원해야 합니다. |